춘천시협동조합지원센터 김태호 팀장(왼쪽부터), 조경자 센터장, 이수련 팀장
3월 춘천에는 180여개의 협동조합이 움직이고 있다. 1월 170여개에서 두 달 만에 10여개의 협동조합이 더 늘어났다. ‘세계 제일의 협동조합 도시’를 꿈꾸는 춘천시정부에는 반가운 소식이다. 특히 지난해 12월 20일 춘천시협동조합지원센터가 개소, 협동조합 출범부터 활성화까지 단계별로 지원해줄 수 있는 든든한 지원군도 생겼다. 지원센터는 개소한 지 이제 4개월 밖에 안 됐지만, 현재 10개 팀이 이곳에서 설립 멘토링을 받고 있으며 ‘강원꽃차협동조합’ 등 5곳이 지원을 받아 창립총회를 개최했다.
협동조합 멘토단 운영 밀착 지원
춘천시협동조합지원센터는 설립지원팀과 성장지원팀으로 나눠 일을 진행하고 있다. 설립지원팀(팀장 김태호)은 협동조합을 만들려고 하는 단계부터 도움을 준다.
전화나 방문을 통해 상담을 시작하면 어떤 아이디어를 가지고 어떤 사람들이 모였는지 파악해 협동조합이 적합한지 일반 사업체가 맞는지 상담해 준다. 협동조합 설립이 가능하다면 발기인 모으기부터 사업계획서와 정관 작성, 총회 준비 등 실질적인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상담을 진행한다.
또 협동조합이나 사회적경제기업 등에서 임직원으로 활동한 경력자 15명이 ‘멘토단’으로 활약하며, 협동조합별로 담임 멘토가 돼 밀착 도움을 준다. 설립 신고뿐 아니라 출자금 납입, 설립 등기, 사업자 등록 신청까지 단계별로 적절한 지원을 해 준다.
공공기관 매칭 ‘협동 상단’ 꾸려
성장지원팀(팀장 이수련)에서는 조직된 협동조합이 잘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협동조합을 대상으로 판로 확대와 홍보, 마케팅 상품 개발 컨설팅 등을 연중 진행한다. 또 협동조합뿐 아니라 춘천지역에 있는 사회적경제기업의 판로 확대를 위해 ‘춘천시 사회적경제 공공구매 협동 상단’을 꾸렸다.
협동 상단은 춘천의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 자활기업, 마을기업 등을 강원도 공공기관과 매칭, 수요와 공급을 충족시켜 주는 일을 한다. 공공기관 특성에 맞춰 필요한 상품을 꾸려 사용을 제안하거나 사회적경제 축제나 행사 등에 부스를 마련하는 등 다양한 방식을 고민하고 있다. 1월부터 참여기업을 모집했고, 4월부터 12월까지 8회에 걸쳐 다양한 스타일의 상단을 꾸릴 계획이다.
춘천시협동조합지원센터의 설립 멘토링을 받은 강원꽃차협동조합 창립총회
협동 인문포럼·인문투어 등 운영
센터는 ‘협동이 일상이 되는 춘천을 촉진합니다. 협동하는 사람들의 성장을 지원합니다’라는 비전을 내걸고 있다. 협동조합 지원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협동이라는 긍정의 가치를 가지고 지역사회를 의미 있게 만들어 나가며 협동의 가치를 확산시키는 일을 하고자 한다.
그래서 센터의 문은 누구에게나 열려 있다. 홈페이지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찾을 수 있고, 센터 입구에는 협동조합 도서관도 있다. 협동조합 관련 도서 200여권이 마련돼 있어 누구나 자료 대출을 신청할 수 있다. 또 협동 인문포럼과 협동 인문 투어도 예정돼 있다.
춘천형 협동조합 모델 발굴 중
조경자 센터장(52)은 “요즘 춘천형 협동조합 모델 발굴을 고민하고 있다. 그중 하나가 방과후 협동조합 모델이다. 학교나 학원이 아니면 아이들을 돌봐줄 곳이 없는 지금의 상황, 특히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이 문제를 심각하게 고민하는 엄마들이 모여 사업을 구상하고 있다. 우리 지원센터에서도 그분들과 함께 지역에서 확산 가능한 방과후 협동조합 모델을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춘천시 공지로 255, 3층 3호
910-0201
www.cccoop.co.kr
협동조합이란
조합원의 필요에 의해 자발적으로 결성돼 공동으로 소유되고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사업체를 말한다. 공동의 목적을 가진 5인 이상이 모여 금융이나 보험 분야를 제외한 모든 사업 분야에 참여할 수 있다.
협동조합이 일을 추진하는 목적이나 방법을 보면 일반 사업체나 비영리 단체 등과 확연히 구분된다. 예를 들면 미세먼지가 심각해질 경우 비영리 단체는 실천사항이나 개선사항을 만들어 캠페인 등을 진행한다. 협동조합은 미세먼지에 대처할 수 있는 마스크나 측정기를 만들어 비즈니스 측면에서 접근하면서도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대안적인 방법을 찾는다. 일반 사업체는 미세먼지 해결이라는 목적보다는 영리적인 목적에 초점을 맞춰 접근한다.